동행에서 이번시간에 알아볼 정보는
세전 세후 뜻 입니다.
대략적인 의미는 알지만
정확히 모르는 분들이 많으시죠?^^
아주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릴테니 앞으로는
세전 세후 뜻 정확히 알고있으세요.
직장인의 연봉을 말할 때 세전 연봉을 가지고 말합니다.
예를들어 연봉 5000만원 이라고하면 내가 실제로 받는 금액은
5000만원이 아닌 세후 연봉을 실제로 받게 되는것이죠.
세전 세후 뜻 정확히 말하면
세전은 세금을 공제받기 전의 금액을 말하는 것 이고,
세후는 세금을 공제받고 난 후의 금액을 말하는 것 입니다.,
여기서 우리가 또 궁금해지는 것이 생깁니다.
그렇다면 세금을 공제받을 때 어떤 금액들이 빠지냐이죠~
빠져나가는 세금은 이렇습니다.
기본적인 4대보험(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)이 빠지고,
여기에 추가적으로 소득세, 지방소득세가 빠지는거에요.
국민연금 9% (본인부담 50% / 회사부담 50%) + 건강보험 6.46% (본인부담 50% / 회사부담 50%)
장기요양보험 <건강보험료 기준 8.23%> (본인부담 50% / 회사부담 50%)
고용보험 1.3% (본인부담 50% / 회사부담 50%) + 산재보험 <업종분류에따라 다름> (회사부담 100%)
근로소득세 (간이세액) + 지방소득세 (근로소득세 기준 10%)
정확하게는 이렇게 나가는 것 입니다.
세전 세후 계산기로 계산해 보니 월급300만원을 받았을 때
실수령액은 2,647.030원 이 나오네요.
이제 세전 세후 뜻 정확히 아시겠죠?
어려울거 전혀없습니다.
직접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고 싶다면
계산기도 많으니 찾아서 계산해 보셔도 되고
제가 알려드린 방법으로 계산해봐도 됩니다.
직접 해보는 것 보다는 계산기가 아무래도 편하겠죠?